티스토리 뷰
✅ 정의
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대출
✅ 종류
- 고정금리 대출 – 금리가 변하지 않아 안정적
- 변동금리 대출 – 금리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
- 혼합형 대출 – 초기 일정 기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로 전환
- 보금자리론 – 정부 지원 장기·고정금리 대출 (서민·중산층 대상)
- 적격대출 – 일정 조건 충족 시 장기·고정금리 대출
🏡 대출 주요 조건 정리: LTV, DTI, DSR
대출을 받을 때 금융기관이 심사하는 주요 조건은 LTV, DTI, DSR입니다.
이 3가지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✅ 1. LTV (주택담보인정비율)
담보 가치 대비 대출 가능 금액 (최대 70%) => 집값 대비 대출 가능 금액을 의미하는 비율
📌 계산 공식
LTV = (대출 가능 금액 ÷ 집값) × 100%
📌 예시
-
- 집값이 6억 원이고, LTV가 **70%**라면?
→ 최대 4억 2천만 원(6억 × 70%)까지 대출 가능
- 집값이 6억 원이고, LTV가 **70%**라면?
📌 규제 기준 (지역별 차이 있음)
-
- 투기과열지구: 최대 40%
- 조정대상지역: 최대 50%
- 비규제지역: 최대 70%
즉, LTV가 낮을수록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든다.
✅ 2. DTI (총부채상환비율)
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 (최대 40%) =>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비율
📌 계산 공식
DTI = (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 소득) × 100%
📌 예시
-
- 연봉이 5천만 원이고,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천만 원이라면?
→ DTI = (2천만 원 ÷ 5천만 원) × 100% = 40%
- 연봉이 5천만 원이고,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천만 원이라면?
📌 규제 기준
-
- 투기과열지구: 40%
- 조정대상지역: 50%
즉, DTI가 높을수록 대출 심사가 어려워진다.
✅ 3. 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모든 대출 포함 원리금 상환 비율 (최대 50%) => “모든 대출을 포함한 소득 대비 상환 부담”
📌 DTI와 차이점?
-
- DTI는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만 고려
- DSR은 주택담보대출 + 신용대출 + 자동차 할부금 등 모든 대출 포함
📌 계산 공식
DSR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 소득) × 100%
📌 예시
-
- 연봉 5천만 원
- 주택담보대출 연 상환액 1천 5백만 원
- 신용대출 연 상환액 5백만 원
- 자동차 할부 연 상환액 5백만 원
→ DSR = (2천 5백만 원 ÷ 5천만 원) × 100% = 50%
📌 규제 기준
-
- 1억 이상 대출 시 DSR 50% 제한
- 은행별로 40%~50% 내에서 심사
즉, DSR이 높을수록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든다.
📌 정리: 한눈에 비교
-
조건의미주요 규제 기준
LTV 집값 대비 대출 가능 비율 최대 70% (지역별 차이) DTI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부담 최대 40~50% DSR 소득 대비 전체 대출 원리금 부담 최대 50%
📢 결론
-
- LTV는 집값 기준, DTI·DSR은 소득 기준
- DSR 규제가 강할수록 신용대출까지 포함되므로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짐
- 스트레스 DSR 3기 적용 시, 변동금리 상승을 고려해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들 예정
✅ 대출 신청 절차
-
-
- 대출 가능 금액 확인
- 금융기관 상담 및 서류 제출
- 담보 가치 평가 (감정평가)
- 대출 심사 및 승인
- 대출 실행 및 입금
- 변동금리 상승 위험 고려
- 대출 한도 및 금리 조건 비교 필수
- 상환 능력 감안한 대출 실행
-
-
스트레스 DSR 3기란?
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대출 규제 강화 조치로, 대출 심사 시 금리 상승 위험을 반영하여 적용하는 **"스트레스 금리"**를 기존보다 높이는 제도입니다.
✅ 기존 스트레스 DSR 2기: 변동금리 대출의 금리를 +0.75%p 높여 대출 심사
✅ 스트레스 DSR 3기: 변동금리 대출의 금리를 +1.5%p 높여 대출 심사 (규제 강화)
📌 예시 - 연소득 1억 원 대출자의 스트레스 DSR 3기 적용 시 대출 가능 금액
- 📌 연봉 1억 원 DSR 3기 적용 시 대출 가능 금액 변화
DSR 3기 시행 후 같은 연 소득이라도 대출 한도가 약 1억 200만 원 감소하므로, 대출 계획 시 유의해야 합니다! - 구분DSR 2기 (현재)DSR 3기 (2025년 7월 이후)
연 소득 1억 원 1억 원 DSR 기준 40% 40% 변동금리 상승폭 +0.75%p +1.5%p 대출 한도 약 6억 5,800만 원 약 5억 5,600만 원 대출 감소폭 - 약 1억 200만 원 감소
📢 결론 동일한 소득이라도 DSR 3기 적용 후에는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듭니다.
📌 예시 - 연소득 5천만 원 대출자의 스트레스 DSR 3기 적용 시 대출 가능 금액
✅ 기본 정보
- 연 소득: 5,000만 원
-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 한도: 40%
→ 연간 원리금 상환 가능 금액: 2,000만 원 (5,000만 원 × 40%)
📌 DSR 2기 (현재)와 DSR 3기(2025년 7월 이후) 비교
구분스트레스 DSR 2기 (현재)스트레스 DSR 3기 (2025년 7월 이후)적용 스트레스 금리 대출 금리에 +0.75%p 추가 대출 금리에 +1.5%p 추가 예상 대출 금액 3억 2,900만 원 2억 7,800만 원 감소 폭 - 약 5,100만 원 감소 📌 즉, 같은 연봉이라도 DSR 3기 적용 후에는 대출 한도가 약 5,100만 원 줄어듭니다.
- 📌 연봉 1억 원 DSR 3기 적용 시 대출 가능 금액 변화
'금융&경제부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정부지원 건강혜택 총정리! 놓치면 손해 보는 지원금 2가지" (0) | 2025.03.30 |
---|---|
“안정적인 금 vs 기회 가득한 은, 당신의 선택은?” (0) | 2025.03.28 |
청년 자산 8천만 원 만들기! 청년도약계좌 + 내일채움공제 활용법(vs 청년희망적금) (0) | 2025.03.27 |
이렇게 써야 혜택 100%! 평생교육바우처 사용법 & 주의사항 (0) | 2025.03.26 |
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(0) | 2025.03.20 |